Header Banner
GG Logo

Future Engineering

기술의 최전선을 기록합니다.

기술 자료/BackEnd/Route 53으로 도메인 연결하기

Route 53으로 도메인 연결하기

BackEnd약 2개월 전

Route 53이란?

Route 53은 AWS에서 제공하는 고성능의 DNS 관리 서비스입니다. 즉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와 매핑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능

설명

도메인 등록

Route 53에서 직접 도메인 구매 가능

호스팅 영역

DNS 레코드를 저장하는 공간

레코드 설정

A, CNAME, MX, TXT 등 다양한 레코드 관리

헬스 체크

서버 상태에 따라 트래픽 자동 전환 가능

 

만약 Cloudflare를 사용하는 경우

  • Route 53은 사용하지 않고 Cloudflare에 도메인 등록

  • A 레코드에 EC2의 Elastic IP 입력

  • 이후 SSL 인증서도 Cloudflare에서 자동 제공됨

Cloudflare는 무료로 HTTPS, 캐싱, CDN 등을 동시에 제공해서 소규모 프로젝트에 매우 유용

(Cloudflare 간편하고 좋다.)

 

호스팅 영역 생성

사전 준비

  • EC2에 Elastic IP 설정 완료

  • 사용할 도메인 주소 확보 (Route 53 or 외부에서 구매 가능)

생성 절차

  1. AWS 콘솔 → Route 53 → Hosted zones

  2. [Create hosted zone] 클릭

  3. 아래 항목 입력

    • Domain name: example.com (보유한 도메인)

    • Type: Public hosted zone (일반 웹 서비스용)

    • [Create hosted zone] 클릭

 

생성 후 자동 생성되는 기본 레코드

레코드

설명

NS (Name Server)

도메인을 어디서 관리할지 알려주는 서버 주소들

SOA

DNS 관리 정보 (자동 관리됨)

 

A 레코드로 EC2 연결

  1. 방금 만든 Hosted Zone 안으로 들어가기

  2. [Create Record] 클릭

  3. 입력

    • Record name: @ (도메인 루트, 또는 api, www 등 서브도메인)

    • Record type: A

    • Value: EC2 Elastic IP 주소 입력

    • TTL(Time to Live): 기본값 사용 가능

    • Routing policy: Simple routing

    • [Create records] 클릭

예시

  • @3.123.456.78 (루트 도메인 연결)

  • api3.123.456.78 (서브도메인 연결)

 

외부에서 구매한 도메인인 경우: 네임서버 변경

Route 53에서 호스팅 영역을 만든 경우, NS 레코드에 있는 네임서버 주소를 도메인 등록처에 입력해야 합니다.

Route 53에서 제공된 NS 목록

ns-1234.awsdns-56.org  
ns-123.awsdns-45.com  
ns-1234.awsdns-56.co.uk  
ns-123.awsdns-45.net 

도메인을 구매한 곳(Godaddy, Cafe24 등) 의 DNS 설정 화면에 입력 (아래는 AWS가 아니라 Cloudflare다. Cloudflare 대신 Route 53에서 제공된 NS 목록을 입력하면 된다.

DNS

키워드

EC2 도메인 연결Route 53 사용법Route 53 네임서버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