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Banner
Kakao Logo

TECH.KAKAO.GG

기술 자료

다양한 기술 자료를 찾아보세요.

추천 카테고리

Design

UI/UX 디자인 리소스

더 알아보기

최근 게시글

게슈탈트 이론으로 UI/UX 디자인 최적화하기

웹 개발과 디자인의 세계에서는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게슈탈트 이론은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게슈탈트 이론의 주요 원칙을 살펴보고, 이를 웹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러한 원칙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면, 더 직관적이고 매력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게슈탈트 이론의 주요 원칙 전경과 배경 (Figure-Ground) 웹 페이지에서 중요한 요소와 덜 중요한 요소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CTA(Call to Action) 버튼은 명확한 전경으로, 배경과 충분히 대비되어야 합니다. 근접성 (Proximity) 관련 있는 요소들을 가까이 배치하여 사용자가 이를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폼 필드와 라벨을 근접하게 배치하여 사용자의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유사성 (Similarity) 시각적 유사성을 통해 그룹화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색상이나 스타일을 사용하여 관련된 버튼이나 링크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합니다. 연속성 (Continuity)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시선을 이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합니다. 예를 들어, 자연스러운 시각적 흐름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쉽게 탐색할 수 있게 합니다. 폐쇄성 (Closure) 불완전한 요소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예를 들어, 불완전한 아이콘이나 이미지도 사용자가 완전한 형태로 인식하게 할 수 있습니다. 공통 운명 (Common Fate)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요소들을 그룹화합니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효과를 사용하여 관련 요소들이 함께 움직이게 하면 사용자에게 시각적 연관성을 제공합니다. 게슈탈트 원칙을 활용한 UI/UX 디자인 CTA 버튼을 배경과 명확히 구분하여 강조합니다. 사용자가 즉시 클릭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눈에 띄게 만듭니다. 관련된 정보나 기능들을 가까이 배치하여 사용자가 이를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제품 이미지와 가격, 설명을 가까이 배치합니다. 비슷한 색상과 스타일을 사용하여 네비게이션 메뉴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사용자는 쉽게 메뉴 항목을 식별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게슈탈트 이론의 원칙들은 웹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보다 직관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고,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Figma에서 버튼 클릭으로 페이지 및 섹션 이동 설정하는 방법

Figma에서 버튼을 클릭하여 페이지 간 이동하거나 페이지 내 특정 섹션으로 스크롤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페이지 간 이동 설정 버튼 선택: 페이지 또는 섹션으로 이동시키고 싶은 버튼을 선택합니다. 프로토타이핑 모드로 전환: 오른쪽 상단의 Prototype 탭을 클릭하여 프로토타이핑 모드로 전환합니다. 인터랙션 설정: 버튼을 선택한 상태에서, 버튼의 오른쪽에 있는 작은 원형 핸들을 드래그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페이지 또는 프레임으로 연결합니다. 트리거 설정: Interaction details 패널에서 트리거를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On click 트리거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액션 설정: Navigate to 액션을 선택합니다. 이동하고자 하는 페이지 또는 프레임을 지정합니다. 2. 페이지 내 섹션 간 이동 설정 (스크롤) 버튼 선택: 섹션으로 이동시키고 싶은 버튼을 선택합니다. 프로토타이핑 모드로 전환: 오른쪽 상단의 Prototype 탭을 클릭하여 프로토타이핑 모드로 전환합니다. 인터랙션 설정: 버튼을 선택한 상태에서, 버튼의 오른쪽에 있는 작은 원형 핸들을 드래그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섹션(프레임)으로 연결합니다. 트리거 설정: Interaction details 패널에서 트리거를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On click 트리거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액션 설정: Scroll to 액션을 선택합니다. 이동하고자 하는 섹션을 지정합니다. 예시: 버튼에서 페이지 이동: 버튼을 선택하고 핸들을 드래그하여 특정 페이지 프레임으로 연결한 후, On click 트리거와 Navigate to 액션을 설정합니다. 버튼에서 섹션으로 스크롤: 버튼을 선택하고 핸들을 드래그하여 같은 페이지 내의 특정 섹션 프레임으로 연결한 후, On click 트리거와 Scroll to 액션을 설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Figma 프로토타입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한 페이지나 섹션으로 이동하거나 스크롤됩니다.

Figma Dev Mode 활용

개발자 모드 사용법 개발자들은 Chrome의 F12 버튼을 통해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하여 웹페이지의 개발 내용을 검사합니다. Figma의 개발자 모드 역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여, 디자인과 코드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택 및 디테일 그룹화된 객체들도 쉽게 선택할 수 있게 개선되었습니다. 사용자는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그 부분의 스타일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시스템의 통합 이전에는 Figma와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사용하는 단위가 달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Figma에서 px, rem 등 다양한 단위를 지원하므로 추가적인 계산 없이도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왜 정확성이 중요한가? 디자인과 웹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화면의 정확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기기마다 화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디자인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Dev Mode는 이러한 정확성을 보장합니다.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만큼 개발자 또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모음

추가되었으면 하는 내용이 있으신가요?

기술 자료에 대한 요청이나 제안이 있으시면 관리자에게 연락해 주세요.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