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Banner
Kakao Logo

TECH.KAKAO.GG

기술 자료/BackEnd/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CMD 명령어들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CMD 명령어들

BackEnd
👁️ 3812개월 전

개발자라면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꼭 알아야 하는 CMD 명령어들을 소개합니다.

 

꿀팁

cd 명령어 입력 후 파일명이 Documents라고 가정했을 때, Doc까지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르면 Doc으로 시작하는 폴더들이 나열됩니다. Tab 키를 계속 누르면 해당 폴더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원하는 폴더가 선택되면 Enter 키를 눌러 자동 완성할 수 있습니다. 물론, Documents 폴더가 하나라면 Tab 키를 한 번 누르고 Enter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완성됩니다.

 

1. cd (Change Directory)

설명: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법: cd [디렉토리 경로]
예시: cd ~/Documents

 

2. ls (List)

설명: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출력합니다.
사용법: ls
예시: ls

 

3. mkdir (Make Directory)

설명: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사용법: mkdir [디렉토리 이름]
예시: mkdir new_folder

 

4. rm (Remove)

설명: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사용법: rm [파일 이름] (파일 삭제), rm -r [디렉토리 이름] (디렉토리 삭제)
예시: rm file.txt, rm -r folder

 

5. cp (Copy)

설명: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합니다.
사용법: cp [원본 파일] [대상 파일]
예시: cp file1.txt file2.txt

 

6. mv (Move)

설명: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합니다.
사용법: mv [원본 파일] [대상 파일]
예시: mv file1.txt folder/file1.txt

 

7. pwd (Print Working Directory)

설명: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합니다.
사용법: pwd
예시: pwd

 

8. clear

설명: 터미널 창의 내용을 지웁니다.
사용법: clear
예시: clear

9. ifconfig

설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확인합니다.
사용법: ifconfig
예시: ifconfig

 

10. ping

설명: 특정 호스트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사용법: ping [호스트 주소]
예시: ping google.com

 

11. ps (Process Status)

설명: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표시합니다.
사용법: ps
예시: ps

 

12. kill

설명: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사용법: kill [프로세스 ID]
예시: kill 1234

 

13. echo

설명: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주로 스크립트에서 사용됩니다.
사용법: echo [출력할 텍스트]
예시: echo Hello World

 

14. open

설명: 파일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엽니다.
사용법: open [파일 경로]
예시: open file.txt, open /Applications/Calculator.app

 

15. diff

설명: 두 파일을 비교합니다.
사용법: diff [파일1] [파일2]
예시: diff file1.txt file2.txt

 

16. netstat

설명: 네트워크 연결,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계를 표시합니다.
사용법: netstat
예시: netstat

 

다양한 시스템 작업을 쉽게 처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각 명령어의 사용법과 예시를 숙지하여 필요할 때 유용하게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