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Banner
Kakao Logo

TECH.KAKAO.GG

인문학 서적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GG

권장하고 싶은 도서 중 하나입니다. 많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고 삶을 되돌아볼 수 있습니다. 우선, 자기 판단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판단을 타인에게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결정한다는 것만큼 개체로서의 완성도와 독립성을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 우리가 스스로 사색하고 선택하며, 비판하고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타인의 의견에 휩쓸리지 말고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행복에 집착하면 행복할 수 없다"라는 말이 정말 와닿습니다. 집착이 오히려 행복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역설을 보여줍니다. 현실적인 생활 수칙을 만들고 지켜나가면 작은 성과가 쌓이고 진정한 행복에 이를 수 있습니다. 모든 일에 완벽함을 추구하기보다 현재에 충실한 삶을 살아야겠습니다. 인생을 살다 보면 근거가 없어도 확신을 가져야 할 때가 있습니다. 남들이 'No'라고 외쳐도 'Yes'를 외치며 안주하지 말고 스스로 증명해야 합니다. 자기 확신과 도전에 용기를 냅시다. 당연하면서도 어쩌면 가장 지키기 어려운 부분이 선행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선행을 베풀어라. 요구하든 요구하지 않든, 감사하든 귀찮아하든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도와줘라." 이타적인 삶이 가치 있는 삶이라고 말합니다. 돈과 명예는 일시적이지만 선행은 지속적인 가치로 남는다고 합니다. 질투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은 멸망의 지름길입니다. (나는 과연 베풀고, 도움을 주는 삶을 살고 있을까?) "인간은 현재만 살아간다. 과거와 미래는 뒤늦은 발견이다." 현재에 충실하지 못하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당신은 현재를 소중히 여기고 충실히 살아가고 있는가?"   앞으로는 어제를 추억하고, 오늘을 살아가며, 내일을 기대하는 삶을 살아보려 합니다. "인생은 잘 풀릴수록 외톨이가 된다. 국가도 비슷하다." 물질적 풍요로움은 반드시 행복을 가져오지 않습니다. 경제 발전과 함께 개인주의는 심화되고 세대 간 소통이 단절되는 사회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욕망을 덜어내고 용기 있는 삶을 살라고 말합니다.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욕망을 어떻게 하면 덜어낼 수 있을까?) 감정의 통제와 장기적인 시각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이야기합니다. "분노란 이성적인 인간이 극복해야 할 대상이다. 화를 참으면 승리한다. 당장의 패배를 볼 게 아니라 미래를 봐라." 순간의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삶을 바라보는 지혜를 가르쳐줍니다. 정말 훌륭한 내용이 많은 책입니다. 내용도 좋고, 좋은 질문도 많이 합니다. 개인적으로 청소년기보다는 30대부터 읽으면 좋은 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만약 10대, 20대에 이 책을 읽었더라면 '현재'가 어떻게 바뀌었을지 모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삶의 근본적인 질문과 함께 후기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왜 사는가?" "무엇을 위해 사는가?" "가치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2024년 10월 24일
겸손과 성장의 균형을 찾아서, 나를 소모하지 않는 현명한 태도에 관하여

겸손과 성장의 균형을 찾아서, 나를 소모하지 않는 현명한 태도에 관하여

GG

나를 소모하지 않는 현명한 태도에 관하여 라는 책을 읽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됐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찾는 가치란 무엇일까?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삶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상품이 아닌 인간 관계, 경험, 의미 있는 일이라는 주장이다. 물질적인 성공에 너무 집착하는게 아닐지 되돌아보게 됐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집착하는 모습을 하루에도 몇번이고 보게된다. 겸손에 대한 내용이 깊게 다루어졌고 해당 부분에 대해서 완전히 공감했다. 겸손한 사람은 타인의 인정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을 스스로 평가한다는 점이 인상깊다. 타인을 배려하고 자신의 가치를 알아가는 좋은 방법을 찾아야 한다.   특히 남성 독자라면 '신사다움', '젠틀맨'에 대한 부분도 한번 생각해봐야한다. 과시를 피하고 지식을 필요 이상으로 드러내지 말고 때를 기다려야 한다고 말하는데, 현대 사회에서 가능한 일일까? 도 생각해보게 됐다. 과시 문화에 대해서는 경계가 필요하다.   우리는 매일 발전하고 있지만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하고, 관계에 대해서는 느슨한 관계를 유지하라는 조언이 있었다. '시끄러운 친구는 보통 조용한 적'이라는 부분도 있었지만 해당 부분은 좀 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느껴졌다.   가장 깊게 생각을 했던 부분은 책에 나와있는 와비사비에 대한 부분이었다. 오래되고 완벽하지 않은 것의 아름다움을 인정하고 찾는다. 라는 일본의 문화인가보다.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 내가 몇번을 읽어봐도 해당 부분을 잘못해석하고 있는지 왜 오래된, 완벽하지 않은 것에서 아름다움을 찾아야하는 지 쉽게 납득할 수 없었다.    전반적으로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잃어가는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만드는 책이었다. 항상 겸손함을 유지하면서 끊임없이 성장하기 위해서 읽어보면 좋은 책으로 느껴진다.

2024년 8월 16일